[형사]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도962 판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등) 판시사항 : [1]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2] 자수의 의미 [3]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한 조치의 적부(적극) 판결요지 [1] 강간피해자 갑은 외음부종창 및 찰과상의 상해를, 을은 외음부종창 및 출혈의 상해를 입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을은 강간을 모면하기 위하여 반항하는 과정에서 안면부 등을 구타당하여 안면부 및 경부에 찰과상, 소파상의상해를 입게 되었다면, 피해자들이 위 상처에 대하여 자가치료 이외에 특별한치료를 받은 일이 없다 하더라도 위 상해로 인하여 신체의 완전성이 손상되고 생활기능에 장애가 초래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으니, 위 각 상해는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의 개념에 해당한다. [2] 자수라 함은 범인이 스스로 수사책임이 있는 관서에 자기의 범행을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그 처분을 구하는 의사표시를 말하고, 가령 수사기관의 직무상의 질문 또는 조사에 응하여 범죄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자백일 뿐 자수로는 되지 않는다. [3] 피고인이 자수하였다 하더라도 자수한 자에 대하여는 법원이 임의로 감경할 수 있음에 불과한 것으로서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참조법령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7 제1항 제6항: 형법 제52조 재판경과 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도962 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 4. 2 선고 92노151 판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3.7.12.선고83도1258판결(1984,520) 1990.4.13.선고90도154판결(1988,189) [2] 대법원 1982.9.28.선고82도1965판결(1992,1037) 1986.6.10.선고86도792판결(공1988, 168) [3] 대법원 1990.10.23.선고90도1818판결(공1993하, 2098) 1991.7.26.선고91도1270판결(공2000하, 1547) 따름판례 대법원 1996. 11. 22 선고 96도1395 판결 , 대법원 1997. 9. 5 선고 97도1725 판결 , 대법원 1999. 4. 13 선고 98도4560 판결 , 대법원 1999. 7. 9 선고 99도1695 판결 , 대법원 2001. 4. 24 선고 2001도872 판결 , 대법원 2002. 1. 11 선고 2001도5925 판결 ,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4도2003 판결 , 대법원 2004. 10. 14 선고 2003도3133 판결 ,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도4883 판결 ,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도4883 판결 전 문 【피 고 인】 최◎주 【상고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석▼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4.2. 선고, 92노15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후의 구금일수중 76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1.원심이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과 원심공동피고인 김윤@,공소외 김철♤ 등 8인은 피해자 김갑×(17세), 박을◎(16세)등 2인을 유인하여 강간하기로 의사의 결합이 이루어져 위 8인이 각 그 실행행위를 분담하여 4인 이상씩 위 피해자를 순차로 윤간하고, 그 결과 위 김갑×는 외음부종창 및 찰과상의 상해를, 위 박을◎은 외음부종창 및 출혈의 상해를 입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위 박을◎은 강간을 모면하기 위하여 반항하는 과정에서 피고인의 일행 중 한사람으로부터 안면부 등을 구타당하여 안면부 및 경부에 찰과상, 소파상의 상해를 입게 된 사실이 인정된다. 그렇다면 위 8인사이에 합동범의 주관적 요건으로서의 공모가 있었다고 할 것이고, 위 피해자들이 입은 상해는 피해자들이 강간당한 후 하산하거나 도주하다가 입게 된 것이 아님이 분명하며, 위 피해자들이 위 상처에 대하여 자가치료 이외에 특별한 치료를 받은 일이 없다 하더라도 위 상해로 인하여 신체의 완전성이 손상되고 생활기능에 장애가 초래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으니, 위 각 상해는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의 개념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당원 1983.7.12. 선고 83도1258 판결, 1984.7.24. 선고 84도1209 판결, 1990.4.13. 선고 90도154 판결 참조). 그리하여 피고인의 판시 소위가 위 피해자들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 7 제6항 제1항 소정의 특수강간치상죄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자수라함은 범인이 스스로 수사책임이 있는 관서에 자기의 범행을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그 처분을 구하는 의사표시를 말하고, 가령 수사기관의 직무상의 질문 또는 조사에 응하여 범죄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자백일 뿐 자수로는 되지 않는다(당원 1982.9.28. 선고 82도1965 판결, 1986.6.10. 선고 86도792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경찰관이 순찰근무 하던 중 피고인 일행이 오토바이 여러대를 타고 가는 것을 발견하고 불심검문했으나 도주하여 인근 경찰서로 무전연락, 바리케이트를 설치하여 피고인을 검거한 후 범죄사실을 추궁한 끝에 이 사건 범죄사실을 자백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자수라고 할 수 없다. 가사 피고인이 자수하였다 하더라도 자수한 자에 대하여는 법윈이 임의로 감경할 수 있음에 불과한 것으로서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당원 1990.10.23. 선고 90도1818 판결 참조).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자수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형법 제57조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를 적용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재판장 윤영철 박우동 김상원 박만호 새로고침 댓글 등록 목록 전체민사가사형사손해배상행정기타 카테고리 제목 형사 대법원 2016. 3. 10 선고 2015도17847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통신매체이용음란) 전화,우편,컴퓨터나 그 밖에 일반적으로 통신매체라고 인식되는 수단을 이용하지 아니한 채 직접 상대방에게 말,글,물건 등을 도달하게 하는 행위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3조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형사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6도21389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통신매체이용음란) [1]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3조에서 정한 ‘통신매체이용음란죄’의 보호법익 / 위 죄의 구성요건 중 ‘자기 또는 다른 사람의 성적 욕망을 유발하거나 만족시킬 목적’ 유무의 판단 기준 및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것’의 의미와 판단 기준 [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3조의 구성요건 중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말, 음향, 글, 그림, 영상 또는 물건을 상대방에게 도달하게 한다’는 것의 의미 및 상대방에게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말, 음향, 글, 그림, 영상 또는 물건이 담겨 있는 웹페이지 등에 대한 인터넷 링크(internet link)를 보내는 행위가 위 구성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한정 적극) 형사 대법원 2011. 4. 14 선고 2010도16939, 2010전도159(병합) 판결 친족관계에 의한 성폭력범죄의 경우 피고인의 신상정보를 공개하면 피고인과 친족관계인 피해자의 신원까지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피고인의 신상정보에 대한 공개명령을 하지 않을 수 있는지 여부(소극) 형사 대법원 2011. 6. 9 선고 2010도10677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카메라등이용촬영) 구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상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의 기수시기 형사 대법원 2014. 9. 4 선고 2014도8423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위반(장애인에대한준강간등) 장애인을 집으로 유인한 다음 성교행위 등을 한 것이 위계에 의한 간음․추행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형사 대법원 2003. 9. 26 선고 2003도4606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 [1] 강간치상죄에 있어서 상해의 판단기준 [2] 피해자에게 발생한 상처가 강간치상죄에서 정한 상해에 해당하지않는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형사 대법원 2002. 9. 3 선고 2002도2581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 등 동일한 폭행·협박으로 항거불능 상태가 계속되는 상태에서 수회 간음한 경우의 죄수 형사 대법원 2007. 3. 15 선고 2006도9453 판결 미성년자의제강간미수·무고 [1] 미성년자의제강간·강제추행죄를 규정한 형법 제305조에 의하여 미수범도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고소당한 범죄가 유죄로 인정되는 경우에, 고소를 당한 사람이 고소인에 대하여 ‘고소당한 죄의 혐의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면 고소인이 자신을 무고한 것에 해당하므로 고소인을 처벌해 달라’는 내용의 고소장을 제출하였다면 고소인에 대한 무고의 범의를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형사 대법원 2000. 6. 9 선고 2000도1253 판결 강간미수·공갈 [1] 강간죄에 있어서의 폭행ㆍ협박의 정도 및 그 판단 기준 [2] 강간죄의 실행의 착수시기 형사 대법원 1988. 6. 28 선고 88도820 판결 강도강간미수,강간치상,강도치상 강도강간이 미수에 그쳤으나 반항을 억압하기 위한 폭행으로 상해를 입힌 경우의 그 죄명 및 죄수 형사 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7도21249 판결 강간미수ㆍ체포미수 [1] 강간죄가 성립하기 위한 가해자의 폭행ㆍ협박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방법 [2] 체포죄에서 말하는 ‘체포’의 의미 / 체포죄가 계속범인지 여부(적극) 및 체포죄의 기수 시기와 실행의 착수 시기 형사 대법원 1993. 10. 12 선고 93도1851 판결 강간미수 [1]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 다음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피해자의 간곡한 부탁에 따라 강간행위의 실행을 중지한 경우를 중지미수로 본 사례 형사 대법원 2015. 3. 12 선고 2014도17853 판결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도강간등) [1] 장기간의 형 집행이 예정된 사람에 대하여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한 약물치료명령을 부과하기 위한 요건 [2]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정신성적 장애인에 대하여 치료감호와 치료명령이 함께 청구된 경우, 치료감호와 함께 치료명령을 선고하기 위한 요건 형사 대법원 2007. 5. 10 선고 2007도1950 판결 강도치상·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등)·특수강도 [1] 자유심증주의의 의미와 과학적 증거방법의 증명력 [2] 용의자의 인상착의 등에 의한 범인식별 절차에 있어 용의자 한 사람을 단독으로 목격자와 대질시키거나 용의자의 사진 한 장만을 목격자에게 제시하여 범인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 정도 및 범인식별 절차에 있어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한 절차적 요건 [3] dna분석을 통한 유전자검사 결과의 증명력 [4] 범인식별절차에 있어서 신빙성을 높이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절차를 충족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피고인의 유전자검사 결과가 범인의 것과 상이하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감정결과가 제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형사 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도962 판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등) [1]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2] 자수의 의미 [3]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한 조치의 적부(적극) 12345678910…30다음 제목 글쓴이 댓글 기타항목 검색
[형사]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도962 판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간등) 판시사항 : [1]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2] 자수의 의미 [3]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한 조치의 적부(적극) 판결요지 [1] 강간피해자 갑은 외음부종창 및 찰과상의 상해를, 을은 외음부종창 및 출혈의 상해를 입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을은 강간을 모면하기 위하여 반항하는 과정에서 안면부 등을 구타당하여 안면부 및 경부에 찰과상, 소파상의상해를 입게 되었다면, 피해자들이 위 상처에 대하여 자가치료 이외에 특별한치료를 받은 일이 없다 하더라도 위 상해로 인하여 신체의 완전성이 손상되고 생활기능에 장애가 초래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으니, 위 각 상해는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의 개념에 해당한다. [2] 자수라 함은 범인이 스스로 수사책임이 있는 관서에 자기의 범행을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그 처분을 구하는 의사표시를 말하고, 가령 수사기관의 직무상의 질문 또는 조사에 응하여 범죄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자백일 뿐 자수로는 되지 않는다. [3] 피고인이 자수하였다 하더라도 자수한 자에 대하여는 법원이 임의로 감경할 수 있음에 불과한 것으로서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참조법령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7 제1항 제6항: 형법 제52조 재판경과 대법원 1992. 8. 14 선고 92도962 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 4. 2 선고 92노151 판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3.7.12.선고83도1258판결(1984,520) 1990.4.13.선고90도154판결(1988,189) [2] 대법원 1982.9.28.선고82도1965판결(1992,1037) 1986.6.10.선고86도792판결(공1988, 168) [3] 대법원 1990.10.23.선고90도1818판결(공1993하, 2098) 1991.7.26.선고91도1270판결(공2000하, 1547) 따름판례 대법원 1996. 11. 22 선고 96도1395 판결 , 대법원 1997. 9. 5 선고 97도1725 판결 , 대법원 1999. 4. 13 선고 98도4560 판결 , 대법원 1999. 7. 9 선고 99도1695 판결 , 대법원 2001. 4. 24 선고 2001도872 판결 , 대법원 2002. 1. 11 선고 2001도5925 판결 ,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4도2003 판결 , 대법원 2004. 10. 14 선고 2003도3133 판결 ,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도4883 판결 ,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도4883 판결 전 문 【피 고 인】 최◎주 【상고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석▼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4.2. 선고, 92노15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후의 구금일수중 76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1.원심이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과 원심공동피고인 김윤@,공소외 김철♤ 등 8인은 피해자 김갑×(17세), 박을◎(16세)등 2인을 유인하여 강간하기로 의사의 결합이 이루어져 위 8인이 각 그 실행행위를 분담하여 4인 이상씩 위 피해자를 순차로 윤간하고, 그 결과 위 김갑×는 외음부종창 및 찰과상의 상해를, 위 박을◎은 외음부종창 및 출혈의 상해를 입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위 박을◎은 강간을 모면하기 위하여 반항하는 과정에서 피고인의 일행 중 한사람으로부터 안면부 등을 구타당하여 안면부 및 경부에 찰과상, 소파상의 상해를 입게 된 사실이 인정된다. 그렇다면 위 8인사이에 합동범의 주관적 요건으로서의 공모가 있었다고 할 것이고, 위 피해자들이 입은 상해는 피해자들이 강간당한 후 하산하거나 도주하다가 입게 된 것이 아님이 분명하며, 위 피해자들이 위 상처에 대하여 자가치료 이외에 특별한 치료를 받은 일이 없다 하더라도 위 상해로 인하여 신체의 완전성이 손상되고 생활기능에 장애가 초래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으니, 위 각 상해는 특수강간치상죄의 상해의 개념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당원 1983.7.12. 선고 83도1258 판결, 1984.7.24. 선고 84도1209 판결, 1990.4.13. 선고 90도154 판결 참조). 그리하여 피고인의 판시 소위가 위 피해자들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 7 제6항 제1항 소정의 특수강간치상죄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자수라함은 범인이 스스로 수사책임이 있는 관서에 자기의 범행을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그 처분을 구하는 의사표시를 말하고, 가령 수사기관의 직무상의 질문 또는 조사에 응하여 범죄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자백일 뿐 자수로는 되지 않는다(당원 1982.9.28. 선고 82도1965 판결, 1986.6.10. 선고 86도792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면, 경찰관이 순찰근무 하던 중 피고인 일행이 오토바이 여러대를 타고 가는 것을 발견하고 불심검문했으나 도주하여 인근 경찰서로 무전연락, 바리케이트를 설치하여 피고인을 검거한 후 범죄사실을 추궁한 끝에 이 사건 범죄사실을 자백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자수라고 할 수 없다. 가사 피고인이 자수하였다 하더라도 자수한 자에 대하여는 법윈이 임의로 감경할 수 있음에 불과한 것으로서 자수감경을 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당원 1990.10.23. 선고 90도1818 판결 참조).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자수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형법 제57조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를 적용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재판장 윤영철 박우동 김상원 박만호